2025년 10월초, 2025년 4분기 글로벌 금융시장 전망 및 투자전략
반도체, AI가 만든 강세장의 시작과 끝이 될 겁니다.
미국 증시는 여전히 강세 유지되며 역사적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금가격도 급등하며 역사적 신고점을 경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 증시 상승과 금가격 상승은 모순되는 면이 있습니다.
금가격은 달러가치가 하락할 때 추세적으로 상승합니다. 최근 금가격 상승은 시장의 달러가치 하락 베팅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미국 정부와 연준에 의한 달러 유동성 공급 확대, 미국 경기 침체 우려, 증시 고평가로 인한 투자 매력 약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판단됩니다. 미국이 더 이상 위대하지 않고, 불안해 보여서 투자가 꺼려지니까 미국으로 들어가는 투자가 줄어들고 기존에 투자했던 자금도 회수하면서 달러 매도 및 금가격 상승이 더 커지고 있다고 해석됩니다. 즉, 금가격 상승 베팅은 "Sell USA"인 셈입니다.
미국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지만 AI가 주도하는 반도체 섹터는 초강세입니다. 올해 글로벌 증시는 반도체가 핵심 주도주입니다. 24년까지 미국 엔비디아로 대표되는 시스템 반도체(GPU)가 주도주였다면 25년에는 메모리 반도체(DRAM)와 시스템 반도체 후발주자들이 주도하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한국과 중국이 미국을 크게 압도하며 선두에 있습니다.
미국에 대한 불안감과 AI 반도체에 대한 장미빛 전망이 공존한다면 고평가된 미국 주식보다 저평가된 한국/중국 주식이 더 좋은 선택이 될 것입니다. 반도체 흐름이 한국이 주도하는 레거시 반도체(DRAM, NAND) 쪽으로 바뀌고 있고, 달러 약세 환경에서 한국 증시 밸류업 정책이 계속 강화되고 있으므로 한국 반도체 및 KOSPI 추가 상승 예상됩니다.
중국 반도체 섹터 투자도 유망합니다. 중국은 미국을 위협할 정도로 AI 추론형 반도체 후발주자로 부상하고 있고 미국 규제로 중국 기업들의 자국산 반도체 구매가 크게 늘어서 실적 기대가 높습니다. 최근 중국 AI 테마 주가가 급등했지만 여전히 미국보다 가격 부담이 크지 않고 중국 정부의 경기 부양 기대와 달러 약세 기대로 중국 증시 역시 추가 상승 예상됩니다.
미국 증시가 걱정과 우려 속에서 상승세가 더 이어진다면 한국과 중국 증시는 분명 더 크게 상승할 것입니다. 다만, 미국 증시 버블 논란이 커지고 있으므로 한국/중국 반도체섹터 중심으로 위험자산 투자하되 반드시 미국 장기물 국채, 엔화, 금, VIX 등의 안전자산을 함께 투자할 필요가 있습니다. 해당 안전자산은 지금 당장은 돈이 안 되더라도 미국 증시가 하락하기 시작하면 큰 수익을 안겨다 줄 것입니다.